
0003368691_001_20250923111813695
글로벌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뜻밖의 파급 효과를 낳고 있다. 작품 속 캐릭터를 계기로 일제강점기 일본의 전쟁 범죄와 조선 호랑이 사냥 만행이 해외에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 16일 한 해외 틱톡 이용자는 ‘케데헌’ 속 호랑이 캐릭터 ‘더피’에 매료돼 한국 호랑이에 대해 조사하던 중, 일본이 과거 호랑이를 해수(害獸)로 규정하고 조직적으로 사냥해 멸종시켰다는 사실을 접했다고 밝혔다. 그는 관련 영상을 올리며 “영화를 보다가 더피 장면에서 너무 슬펐다”고 전했다. 해당 영상은 일주일 만에 조회수 120만 회를 돌파하며 전 세계로 확산됐다.
일본은 1917년 정호군(征虎軍)이라는 민간 사냥대를 조직해 조선 호랑이 토벌에 나섰던 바 있다. 이를 알게 된 해외 누리꾼들은 영상 댓글창에 “일본은 여전히 과거에 대해 사과하지 않았다” “전쟁 범죄를 교육하지 않고 묵인하고 있다” “한국의 무궁화도 없애려 했지만 지금은 회복력의 상징이 됐다” 등 비판적인 반응을 쏟아냈다. 댓글 수만 2000개를 넘어섰다.
국내 여론 역시 뜨겁다. 한국 누리꾼들은 “‘케데헌’이 역사적 진실을 알렸다” “이게 바로 문화의 힘” “‘더피’가 전 세계에 일본의 만행을 전했다”라며 반응을 보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케데헌’은 일본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과 소니 픽처스 이미지웍스가 공동 제작에 참여했다. 넷플릭스가 제작비를 전액 투자하는 대신 지식재산권(IP)과 부가가치를 독점하는 방식으로 계약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일본 자본이 얽혀 있다는 점에서 “일본의 참여가 오히려 과거를 되돌아보게 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 세계적 인기를 등에 업은 ‘케데헌’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문화 콘텐츠가 역사적 사실을 알리는 통로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사진] 넷플릭스